울산보람병원

로그인 및 관련 설정

퀵메뉴

  • 진료스케줄
  • 제증명발급
  • 온라인상담
  • 오시는길
  • 울산보람병원 블로그
  • 문화센터
  • 병원생활안내
  • 비급여항목
top

로컬메뉴

     

갱년기 클리닉

여성의 건강을 생각하는 보람병원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 속에 들어있는 칼슘과 무기질이 빠져나가면서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골다공증이 발생되면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모든 부위에서 쉽게 골절이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손목뼈, 척추, 고관절에서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골다공증의 원인

골다공증의 원인
1차성 골다공증 원인 - 특발성 골다공증
- 폐경기 후(여성) 골다공증
- 노년기 골다공증
- 뚜렷한 원인 없이 발병
- 폐경 후 여성호르몬 부족으로 발병
- 자연스런 노화과정에서 발병
2차성 골다공증 원인 당뇨병, 위장관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암 등 특정 질병 및 약물에 의해 발병

골다공증의 진단

50세 이상의 여성이라면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낙상사고 등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골밀도 검사를 권장합니다.

골밀도
골밀도는 뼈가 미네랄(특히 칼슘)로 채워져 있는 정도를 말하며, 골밀도가 감소하면 골다공증에 걸리게 되고 이는 곧 골절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폐경기 여성의 경우 골밀도를 높여주는 여성호르몬의 분비 감소로 골다공증에 걸릴 확률이 높으므로 칼슘 섭취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골밀도의 식사요법

칼슘이 많은 식품콩, 두부, 두유, 견과류, 멸치, 뱅어, 시금치, 미역, 김, 톳, 무청, 케일

적당량 섭취 식품육류나 생선, 계란 등의 동물성 단백질

제한식품알콜, 흡연, 커피, 홍차 등의 카페인 음료, 짠 음식 등

골밀도 감소의 운동요법

- 운동을 하면 뼈에 일정량의 자극이 가해지는데, 이 자극은 뼈를 만드는 세포, 즉 조골세포를 활성화 시키므로
  뼈가 단단해집니다.

- 운동은 근육을 강하게 만들어 잘 넘어지지 않게 합니다.

-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자전거, 수영 등 무릎에 무게가 실리지 않는 운동보다는 근력 강화 운동이나
  등산, 걷기, 달리기(서서 하는 운동) 등을 선택
합니다.

골밀도 감소의 운동요법 1등산 2달리기 3걷기